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블랙캣 콤팩트 미니스프린터 튜닝 하기 #2 - 브레이크와 페달 교체 블랙캣 콤팩트 미니스프린터 튜닝하기 2번째 브레이크와 페달 교체 입니다. 블래캣 콤팩트의 브레이크 레버를 일반 형식에서 도로차용 브레이크 레버로 바꿨습니다.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생기는데요. 도로용차용 브레이크 레버에 의해서 움직이는 선의 길이가 MTB 에 비해서 많이 짧습니다. 이 말은 기존에 달려있는 브레이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한다는 말이 됩니다.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3가지가 있습니다. 트레블 에이전트 사용 브레이크 암을 짧은 것으로 교체 어떤 방법을 써서든 도로차용 브레이크를 이식한다. 세번재는 일단 무시하고(^^;), 첫번째 방법은 이런 케이블 길이의 차이를 중간에 트레블에이전트 라는 어댑터를 장착해서 해결하는 방법입니다. 글을 찾아보니 네이버 다혼동 패러다임님 글 을 참고 하.. 더보기
블랙캣 콤팩트 미니스프린터 튜닝 하기 #1 - 드롭바 올리기 블랙캣 콤팩트를 미니스프린터로 튜닝하기 첫번째 시간! 미니스프린터의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는 드롭바를 장착하겠습니다. 먼저 블랙캣 콤팩트의 기본 핸들 모양은 다음 처럼 생겼습니다. 일반적인 다혼 계열의 모양과 같습니다. 가운데 별도의 스템이 없이 지전거를 접을 때 핸들의 각도를 바꾸기 위해서 QR 레버가 달려있습니다. 그리고 핸들바의 직경은 25.4mm 입니다. 여기에 장착할 드롭바는 다음 제품 입니다. 몇 일전에 중고시장에서 저렴하게 영입했죠.^^ 이 드롭바의 규격은 26.0mm 입니다. 26.0mm 는 일반적인 드롭바의 규격입니다. 여기서 다혼에 드롭바를 장착할 때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. 바로 25.4mm 와 26.0mm 규격의 차이죠. 니토에서 나온 25.4mm 나 리치에서 나온 25.8mm 규격.. 더보기
블랙캣 콤팩트 3.0 입양했습니다. 블랙캣 콤팩트 3.0 입양했습니다. 최근에 중랑천을 달리다보니 드롭바가 달린 미니스프린터가 가지고 싶어서 여행용으로도 사용할 겸 블랙캣을 구입했네요. 전에 타던 자전거가 다혼 Vitesse D7 이었는데, D7 을 8단으로 바꾸려니 휠셋도 바꿔야 해서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더군요. 그래서 8단인 블랙캣 콤팩트를 새로 구입했습니다. 차대번호는 D802704042 곳 드롭바로 바뀐 블랙캣 콤팩트의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.^^ 더보기
iPod Touch 2세대 16GB 샀어요. 전에 연구실에 오시는 혜진이 형이 보여준 뒤로 계속 가지고 싶었던 iPod Touch 를 얼마전에 드디어 구입했습니다. 정확히는 여친이 선물로 사줬죠. ^^ 5~6 가지의 PDA 를 사용해보고, 지금도 스마트 폰인 M4655 를 PDA 로 사용하고 있지만, 항상 입력방식과 성능의 한계와 Windows Mobile 의 오류 때문에 불만이 많았는데, iPod Touch 는 그런 단점을 다 무시할 수 있더군요. 특히 터치 스크린에 있는 키보드가 감동이었습니다. 처음 이런 장치를 써본 사람이라면, "이걸 쓰라고 만든거야 쓰지 말라고 만든거야" 하겠지만, 4~5개의 PDA 를 거치며 항상 불편한 스타일러스를 이용하던 저에게 이 입력방식은 천국이더군요. 보호 케이스도 샀습니다. 2~3 만원 이상 하는 보호 필름도 .. 더보기
Perceus 활용 #2 : Module 기능을 이용하자 - passwd, group 설정하기 Perceus 활용 2번째 시간입니다. 이번에는 Module 기능을 이용해서 passwd 와 group 설정을 해보겠습니다. cluster 를 구축하면 가장 귀찮은 일이 사용자와 그룹을 동기화 하는 것입니다. NIS 같은 것들도 쓰고, 저 같은 경우 Perceus 를 처음 사용할 때는 passwd 파일과 group 파일을 노드 이미지에 넣어서 사용했었습니다. 하지만, 이 작업을 Perceus 에 있는 passwdfile, groupfile module 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우선 이 두 모듈은 처음 활성화 할 때, master 의 /etc/passwd, /etc/group 파일을 이용합니다. 그래서 모듈 활성화 하기 전에 시스템의 설정을 해야 합니다. module 을 activation .. 더보기
Perceus 활용 #1 : Module 기능을 이용하자 - node 의 IP 지정하기 Perceus 를 사용하다 보면, 참 편리하다.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. 하지만, 역시 어딜 가나 있는 2% 부족한 부분이 존재하는데요. 이런 부분들을 보충하기 위해서 Perceus 에서는 Module 이라는 기능이 존재합니다. 이런 Module 을 하나씩 활용해 봅시다. 이번에 활용해볼 Module 은 ipaddr 입니다. ipaddr 은 Perceus 작동과정에서 각 Node 에 자동으로 부여되는 IP 를 특정 정적 IP 로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. 또한 기본 장치인 eth0 외에 eth1 과 같은 장치역시 추가할 수 있습니다. Perceus 에서 ipaddr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 # perceus module activate ipaddr명령어를 실행하면, /etc.. 더보기
Amber 10 설치하기 Amber 10 설치 방법 입니다. 여기서는 Intel MathKernelLibrary 를 사용하겠습니다. Amber를 설치하기 전에 알아둘 내용으로 install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. amber10.tar.gz 파일을 설치하기 원하는 곳에 압축을 풀고 그곳에서 컴파일을 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 여기서는 /opt/amber10 에 설치하겠습니다. 설치환경 amber 를 설치하는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. CentOS 5.2 Intel Compiler 11.0.81 MPICH2 1.0.8 ( /opt/mpich2 에 설치되있다고 가정합니다.) 환경변수 설정 export AMBERHOME=/opt/amber10 export MPI_HOME=/opt/mpich2 export MKL_HOME=${I.. 더보기
MPICH2 설치하기 앞서 설정한 컬러스터링 시스템에 Sun Grid Engine 를 Queueing 시스템으로 사용하였습니다. 이제 Queueing System 에서 MPI 방식의 프로그램을 돌리기 위해서 MPICH2 를 설치하고 둘을 연동시켜 보겠습니다. MPICH2 를 설치하는 방식은 2개지가 있습니다. 첫번재는 네트웍을 통하지 않고 여러개의 Core를 가지는 한대의 컴퓨터에서 돌아가게 하는 방식과 smpd 를 이용해서 네트웍으로 다른 컴퓨터와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각각의 장단 점이 있으므로,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. 여기서는 2가지 종류의 컴파일러를 사용해서 각 컴파일당 2개의 종류를 가지게 되어서 총 4가지 경우로 설치가 이루어집니다. 설치하실 분들은 자신에게 알맞는 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 .. 더보기